치명성: 도전 극복 LETHALITY: OVERCOMING CHALLENGES
1-23. 육군은 위협과 환경이 가져오는 난제를 치사성 능력이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편성 으로 극복 한다 . , 육군이 목표를 달성하고 국력의 다른 수단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다.
1-24. 치사성은 적 부대를 파괴하거나 파괴의 위험에 노출하기 위해 무기 시스템과 질량 효과를 사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편대를 기동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시스템의 속도, 범위 및 정확도는 치사성을 높입니다. capabilities)를 대량으로 비축할 필요가 있다. 적 부대에게 여러 딜레마를 밀어넣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압도시킨다.
· 동맹국이나 파트너와의 육상 전력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여 상호 운용성을 높인다.
· 육상 분쟁을 억제하기 위해 대규모 전투 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실증적으로 준비한다.
・ 제병과 연합적인 방법으로 능력을 활용하여 이용 가능한 기회를 창출한다.
· 통합 부대의 다른 군종에 대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기동, 양의 효과, 전투력을 유지한다.
· 전방에 배치된 중요한 통합 인프라와 긴요 지형(key terrain)을 방어한다.
・ 공격적인 작전을 전개하고, 기회를 창출·개척해, 목표를 달성한다.
· 경쟁, 위기, 무력분쟁시 획득한 성과를 집약·강화(consolidate gains)하여 지속적인 정치적 성과를 얻을 수 있다.
1-25. 육군부대의 효과적인 운용은 전쟁, 싸움(warfare), 군사부대가 싸우는 환경을 이해하는 리더에 의존한다. 있는 경우가 많다.
원문
LETHALITY: OVERCOMING CHALLENGES
1- 23. Army forces overcome challenges posed by threats and the environment with credible formations able to employ lethal capabilities. Lethality is the capability and capacity to destroy. Employing and threatening the employment of lethal force lies at the core of how Army forces achieve objectives and enable the rest of the instruments of national power to achieve objectives.\
1- 24. Lethality is enabled by formations maneuvering into positions of relative advantage where they can employ weapon systems and mass effects to destroy enemy forces or place them at risk of destruction. The speed, range, and accuracy of weapon systems employed by a formation enhance its lethality. The demands of large-scale combat rapidly deplete available stockpiles and require forces to retain large reserves of ammunition, weapons, and other warfighting capabilities. Leaders multiply the effects of lethal force by employing combinations of capabilities through multiple domains to create, accrue, and exploit relative advantages—imposing multiple dilemmas on enemy forces and overwhelming their ability to respond effectively. Overcoming challenges in the operational environment further requires lethal Army forces that employ all available capabilities to—
•Continuously cultivate landpower networks with allies and partners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Be demonstrably prepared for large-scale combat operations to deter conflict on land.
•Employ capabilities in a combined arms manner to create exploitable opportunities.
•Maneuver, mass effects, and preserve combat power to defeat threats to other Service components of the joint force.
•Defend forward-positioned critical joint infrastructure and key terrain.
•Conduct offensive operations to create and exploit opportunities and achieve objectives.
•Consolidate gains during competition, crisis, and armed conflict to enable sustainable political outcomes.
1- 25. The effective employment of Army forces depends on leaders who understand war, warfare, and the environment within which military forces fight. Gaps in understanding are often causes of failures to achieve sustainable political outcomes with military means.
'제1장 작전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장 작전의 기초" 6/6 작전환경 이해: UNDERSTANDING AN OPERATIONAL ENVIRONMENT (2) | 2024.12.21 |
---|---|
"제1장 작전의 기초" 5/6 전쟁: WAR AND WARFARE (1) | 2024.12.21 |
"제1장 작전의 기초" 3/6 미 육군 부대의 도전 : CHALLENGES FOR ARMY FORCES (1) | 2024.12.21 |
"제1장 작전의 기초" 2/6 멀티 도메인 작전: MULTIDOMAIN OPERATIONS (0) | 2024.12.21 |
"제1장 작전의 기초" 1/6 미 육군 작전: ARMY OPERATIONS (0) | 2024.12.21 |